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청년도약계좌"적금(19~34세) 오늘은 최근 사회 이슈에 대해 정리하고 관련뉴스 링크를 해서 정보공유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젊은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고있는 목돈모으기 적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34세 자녀가 있으시거나. 청년이시라면, 적은 금액이라도 적극 가입을 추천드립니다. 다음달 만기 예정인 "청년희망적금"을 새로 시작되는 "청년도약계좌"로 연결하여 내일부터 가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상품이고, 최대 6%를 정부가 보조하고, 여기에 은행의 고금리 이자가 붙어, 매월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가입 조건은 만 19 ~ 34세 이하 청년 이고, 연봉이 7,500만원(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가구소득은 중위 180% 이하인 경우에 해당 5년간 매월 1.. 더보기
마트 의무휴업 및 단통법 폐지 2024년 1월 22일, 대형마트에 적용하는 공휴일 의무 휴업 규제와 통신비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실시한 단말기유통법(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을 전면 폐지하기로 했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대형마트 영업규제 및 단통법, 도서정가제..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이 주요하게 논의되면서, 지역 재래시장 살리기 방안으로 시행된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규제를 폐지하여, 국민이 주말에도 장보기가 편해지도록 평일에 휴업할 수 있도록 했고. 대도시와 수도권 외 지역에도 새벽 배송이 활성화되도록 제도를 대폭 완화/허용하기로 했다 또한, 10년 만에 단통법이 폐지 수순을 밟았다. 그러나, 당장 각종 보조금이 늘면서 단말기를 싸게 살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가운데, 정.. 더보기
술(酒)~! 너는 누구니? 술 만큼 별의별 이름을 가지고 있는 기호식품도 드물 것이다. 오늘은 술에 대해 수집해 정리해본다. 곡물로 만들면 곡주(穀酒)라 하고, 과일로 만들면 과일주라 한다. 색깔이 희다 하여 백주(白酒)라 하고, 붉다 하여 홍주(紅酒)라 하고, 포도로 만들었다 하여 포도주(葡萄酒)라 하고, 고량(高梁, 수수)으로 만들면 고량주(高粱酒) 인삼을 넣으면 인삼주(人蔘酒)라 하고, 오미자로 만들면 오미자주(五味子酒)라 하고, 배(梨)와 생강(生薑)을 넣어 빚었다 하여 이강주(梨薑酒)라 하고, 안동에서 만들었다 하여 안동소주라 하고, 진도에서 만들었다 하여 진도홍주라 한다.~^^ 외국 술도 마찬가지이다. 프랑스 보졸레 지방에서 첫 수확한 포도로 만들었다 하여 보졸레 누보(Beaujolais Nouveau)라하고, 미국 켄.. 더보기
겔럭시S24_사고(Ai) 삼성전자가 또다시 사고(思考) 쳤다. 이번에는 생각(思考)하는 Ai폰으로 내일부터 25일까지 사전판매가 가능하고, 1/ 31일 공식 출시한다고 한다. 이번 출시되는 갤럭시 S24 시리즈 출시부터 인공지능(AI)의 대중화 시대를 연다고 발표했다. 실시간으로 통번역은 물론, 문서,이미지 편집, 자동검색.. 등, 세계 스마트폰 최초로 다양한 AI 기능을 탑재했다고 말한다.노태문 삼성전자 사장(MX사업부장)은 1월 17일 미국 새너제이에서 "갤럭시 언팩" 행사를 개최하고, 첫 번째 AI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를 첫 공개하며, "세상과의 연결 방식을 완전히 바꾸고 새로운 혁신의 시대를 열고자 한다"며 "혁신의 힘으로 꿈을 현실로 만들고, 더 높은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먼저, 다른 언어로 소통하는 사.. 더보기
13월의 월급_연말정산 드디어, 올 것이 왔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1/15일부터 국세청 홈페이지에 개통했다고, 국세청이 발표했습니다. 이제 13월의 급여 정산을 잘해서 많이 받아봅시다. 우선, 간소화 서비스가 시행되면서 홈택스에 접속하여 근로자 및 부양가족의 간소화자료 제공 동의만 한다면 국세청이 근로자 대신 회사에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제출하는 서비스 입니다. 참~편리한 제도이죠. 자~~ 시작합니다^^ 서비스가 오픈되면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서 "연말정산 간소화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홈택스 로그인을 하는데요. 본인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참고로 저는 "공동ㆍ금융인증서"로그인을 하는데. 그럴려면 사전에 인증서가 홈택스에 사전등록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더보기
부모급여~인상"확정 이달 1월 25일부터 인상된 부모급여가 매달 지급된다고 보건복지부가 발표했다. 부모급여는 2023년에 도입됐다. 첫 돌이 되지 않은 영아들은 올해부터 매달 100만원을 받는다. 연간 최대 1,200만원이다. 부모급여는 부모나 아동 명의의 은행계좌로 받을 수 있고. 기존에 부모급여를 받고 있던 아동은 별도의 신청 없이 인상된 금액을 더해 받을 수 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닐 경우, 바우처 형태로 보육료를 지급했고.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을 때는 연령에 따라 매달 10만~20만원 규모의 가정양육수당을 현금으로 지급했다. 어린이집의 보육료가 가정양육수당보다 훨씬 많았기 때문에 형평성논란도 있었다. 😭 2021년도에 시작된 보육수당은 3년이 지난싯점 2024년부터 0세(월100만원)와 1세(월50만원)는 부모.. 더보기
한국 기생(기녀)_유래 얼마전 일본기생인 게이샤에. 대해 적었었다. https://cdmt.tistory.com/m/28 일본 기생? 게이샤?얼마전 일본여행 중에 게이샤 공연관람이 있었는데. 당시 가이드가 이야기 해준 게이샤의 최고봉인 "오이란"에 대해 관심갖고 게이샤 변천사를 찾아보고 정리해놓 글이다. 재미있게 읽어보길~^^cdmt.tistory.com이번엔 한국의 기생에 대해 정리해본다. (*나무위키_참조) 기생(妓生)은 관기, 민기, 약방기생(원래는 의녀), 상방기생 등 예기의 총칭이다. 기녀라고도 한다. 일패, 이패, 삼패 기생을 모두 통틀을 때는 '덥추'라고도 불렸다. 영어로 번역하자면 courtesan에 대응한다. 단,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코르티잔은 귀족, 왕족들을 상대하거나 후원을 받는 대가로 성과 유흥(춤, 교.. 더보기
일본 기생? 게이샤? 얼마전 일본여행 중에 게이샤 공연관람이 있었는데. 당시 가이드가 이야기 해준 게이샤의 최고봉인 "오이란"에 대해 관심갖고 게이샤 변천사를 찾아보고 정리해놓 글이다. 재미있게 읽어보길~^^한국에도 기생이 있지만, 게이샤는 전통음악 연주, 무용 공연, 시 짓기 같은 예능에 종사하는 일본의 기생이다. 게이샤라는 말은 일본의 고유어가 아닌 한자 성어로서, 재주 예(芸 /게이)자에 놈 자 (者/샤)자가 합쳐져 예술에 능통한 사람을 뜻하며, 한국 독음으로 읽으면 '예자'다. 주로 간토 지방, 특히 도쿄에서 쓰는 표현이다. 더불어 게이기(예기, 니이가타/삿포로 등지에서 쓴다. 芸妓), 게이코(예자, 간사이, 특히 교토에서 쓰는 표현이다. 芸子)라고도 한다. 원래~ 게이샤는 남성 예능인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메이지 .. 더보기